맹꽁이 한살이 돌아보기 “맹꽁맹꽁” 운다고 하여 ‘맹꽁이’라 부릅니다. 장마철에 비가 많이 내리면 맹꽁이 소리를 많이 들을 수 있습니다. 한 마리가 “맹” 하고 울면 다른 놈이 “꽁” 하고 번갈아 우는 것입니다. 빗물이 고여 생긴 웅덩이에 알을 낳습니다. 다 자라도 몸 길이가 4~5cm밖에 되지 않습니다. 대부분을 땅속.. 자연생태/물뭍_맹꽁이 2009.05.22
맹꽁이 벌써 나타나 어제(2009. 5..21.) 비가 내리는 날 밤, 율량동 택지개발지구에 맹꽁이가 나타났다. 벌써!(보통 6월이 되어야 나오는데) 소리로 확인한 것은 6마리 정도. 사진을 찍은 것은 2마리. 처음 발견한 놈. 무척 찾기 어렵다.(물속) 땅에 올라온 놈. 날 건드리지 마시오 하고 몸뚱이를 부풀린다. 맹꽁이는 멸종위기종 2.. 자연생태/물뭍_맹꽁이 2009.05.22
이끼도롱뇽 아직 잘 알려지지 않은 이끼도롱뇽 이끼도롱뇽은 2003년 미국인 과학교사 스티븐 카슨 씨가 학생들과 계곡의 돌을 들추다가 발견하였다고 한다. 허파 없는 미주도롱뇽과 비슷한 것인데, 아시아에서 이런 도롱뇽은 발견된 적이 없었다. 한국의 이끼도롱뇽이 처음이다. 중국에서 열심히 찾고 있다고 하.. 자연생태/물뭍_도롱뇽류 2009.05.18
돌아온 두꺼비(2007) 돌아온 두꺼비 바탕_ 2007-03-02 19:19:41 281 8 청주에 원흥이방죽이란 곳이 있습니다. 두꺼비들이 집단으로 알을 낳던 곳입니다. 이곳이 개발이 되어 사라질 위험에 놓이자, 많은 사람들이 보존을 하자고 하였습니다. 하지만 개발을 막는 일은 계란으로 바위 치기나 마찬가지여서, 쉽지 않았습니다. 우여곡.. 자연생태/물뭍_두꺼비 2009.05.15
[스크랩] 종이의 결 http://cafe.daum.net/bookmakepeople/6T4Z/8 ㆍ횡목? 종목? 종이를 선택할 때 종목, 횡목이니 하는 말을 많이 하는데, 여기서 종목,횡목이란 종이의 결을 말합니다 ㆍ 종이의 결? 그냥 눈으로 봐선 알 수 없지만 펄프섬유가 종이로 만들어질 때 기계 진행 방향으로 나타나는 섬유의 배열 상태에 따라 종이의 결이 달.. 책이야기/출판 2009.05.14
농촌방죽 새끼 두꺼비 대이동(2009. 5. 12.) 2009년 5월 12일 아침, 11일부터 내리기 시작한 비 덕분에 농촌방죽 새끼 두꺼비들이 전부 구룡산으로 올라간다. 새끼 두꺼비들이 비 오는 날 순식간에 산으로 오르는 이유는 아직까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무슨 생각을 하느냐? 깊고 무서운 벽 벽은 넘지 말라고 있는 것일까? 넘어보라고 있는 것일까.. 자연생태/물뭍_두꺼비 2009.05.13
[스크랩] 敬의 새로운 이해 敬은 한자어로 공경할 경자로 보통 새기며, 그래서 공경한다는 의미로 주로 쓰이고 있다. 그러나 敬은 성리학에서 수양론의 핵심 단어이다. 퇴계 이황은 참 인간이 되기 위한 수양방법으로 경을 제시하고 있으며, 그래서 그가 17세인 선종 임금에게 올린 성학십도에서도 경 중심의 수양론을 제시하고 .. 차한잔하시죠 2009.05.13